본 포스팅은 스케일링 보험 확인을 PC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건강보험’ 앱으로 할 수 있으나, 단지 조회를 하기 위해서 별도의 앱을 설치해야 하기에, PC로 간편하게 조회하는 것을 추천한다. 참고로, 스케일링 보험 적용은 1년에 1회 적용이 가능하며, 만 19세 이상 성인만 건강보험을 적용해주니 참고하기 바란다.
스케일링 보험 개요
스케일링 건강보험 적용 관련 혼등하는 부분이 있는 것 같아, 해당 기본 정보를 정리해본다.
스케일링 보험 적용 기간인 1년이란, 전년도 스케일링을 받은 후 1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당해년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의미한다. 즉, 작년 12월에 스케일링을 받았다면, 올해 1월에 받아도 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다는 말이다.
만 19세 이상 성인만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한 이유는 미성년자의 경우 성인에 비해 치석 제거 발생할 확률이 낮은 것도 있지만, 아직 치아가 성장하고 있기에 섣부른 잇몸의 치석제거 등으로 치아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인 이유도 있다
1년에 1회가 아닌 2회 이상을 받을 수 있느냐가 궁금한 이도 있을 수 있다. 잇몸 염증과 관련한 이유로 치석 제거를 한다면, 건강보험을 추가로 적용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치과 전문의마다 보험 적용을 달리 적용하는 경우가 있기에, 자세한 내용은 해당 치과에 문의하기 바란다.
스케일링 보험 적용 후 가격은 의원급 기준으로 1만 5천원에서 1만 7천원 정도의 비용을 지불하게 된다. 병원 및 종합병원 규모로 올라갈 수록 그 비용은 증가함을 참고하기 바란다.
스케일링 보험 확인 방법
아래의 방법으로 본인의 당해년도 스케일링 보험 확인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1. 건강보험 홈페이지 로그인

스케일링 보험 확인 방법은 간단하다. 건강보험에 접속한 후 본인의 인증 정보로 로그인 후 치석제거 보험 적용 여부 메뉴로 이동하면, 건강보험 적용을 받았는지 알 수 있다. 우선 아래 사이트로 이동 후 상단에 위치한 ‘로그인’ 메뉴를 실행하여 준다.
2. 인증 방법 선택

PC로 스케일링 보험 확인 시 건강보험 홈페이지 회원가입은 필요 없다. 간편인증 혹은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로 본인인증만 진행하면, 스케일링 보험 적용 확인이 가능하다. 참고로 공동 및 금융인증서의 경우 보안 프로그램을 PC에 설치해야 하는 것에 반해, 간편인증의 경우 별도 보안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기에 간편인증으로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 간편인증 – 카카오, 네이버, KB인증서, 페이코, 패스, 삼성패스, 토스 인증서 외
- 공동인증서 및 금융인증서
3. 본인 인증 진행

위 화면은 인증 방법 중 간편 인증으로 진행 시 노출되는 화면이다. 노출되는 8개의 인증서 중 본인에게 가장 용이한 방법으로 인증을 실시한다. 참고로 본인인증을 진행할 간편인증 대상에 대하여 사전에 인증서 발급이 이루어져야 인증이 가능하다. 이러한 간편인증서 발급이 없었다면, 공동 및 금융인증서로 인증해야 한다.
4. 치석제거 진료정보 조회 메뉴

스케일링 보험 확인 메뉴명은 ‘치석제거 진료정보 조회’ 메뉴이다. 해당 메뉴 위치는 민원여기요-개인민원 내 보험급여 메뉴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혹시나, 건강보험 앱으로 스케일링 보험 적용 확인을 할 시에도 메뉴 위치는 동일하니 참고하기 바란다.
5. 스케일링 보험 확인

앞서 ‘치석제거 진료정보 조회’ 메뉴를 실행했다면, 위의 이미지와 같은 결과값이 노출된다. 만약, 당해년도에 스케일링을 받은 적이 있다면, 기존 진료시기란에 시행 월이 표시되면서, 급여대상 여부에 비대상이라는 문구가 노출된다. 만약, 급여대상 여부에 ‘대상’이라는 문구가 노출된다면, 올해 스케일링 보험 적용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이상, 스케일링 보험 적용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치석 제거의 경우 6개월 마다 관찰, 최소 1년에 1회 이상 시행하는 것이 잇몸 염증 예방과 충치 예방 효과가 뛰어나다고 하니, 올해 받지 않았다면, 필히 시술 받기 바란다. 방문 전 아래의 정보가 도움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