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 8가지 (ft. 일반, 프로 맥스)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카카오톡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본 포스팅은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 8가지를 정리한 글이다. 아이폰13 미니를 이용하고 있는 본인은, 이번에 아이폰15 플러스 모델과 프로 모델 중 하나를 선택 고민 중이다. 물론 아이폰15 일반 모델과 프로 맥스 모델이 있긴 하지만, 나름 가성비 있는 모델을 선택하다 보니 플러스 모델과 프로 모델이 적당해서 두 모델 중 하나를 구매하려 한다. 주로 차이점 부분에 중점을 두고 두 사양을 정리해보았으니 도움이 되길 바란다.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

아이폰15-플러스-프로-차이
아이폰15 플러스

결론부터 얘기해서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크기, AOD, 주사율, 무게, 망원 렌즈, 액션 버튼, USB 3.0에서 차이가 발생한다.

프로세서

아이폰15 플러스 모델의 경우 A16 Bionic APU가 들어간다. 이에 반해 아이폰15 프로 모델의 경우 예상이던 A17 Bionic이 아닌, A17 Pro APU가 들어갔는데, A17 Pro는 아니지만 A17 Bionic과 A16 Bionic 두 APU에 관한, 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 상당한 성능 차이가 난다는 결과를 공개했다.

  • A16 A17 싱글코어 성능 차이 – 29.1% (2531/3269)
  • A16 A17 멀티코어 성능 차이 – 18.6% (6460/7666)

위 벤치마크 테스트는 A17 Bionic APU와 비교한 자료이기에, 이번에 아이폰15 프로에 들어간 A17 Pro의 경우 A16 Bionic 와 비교하여, 최소 30% 이상의 성능 향상이 기대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A17 프로세서의 경우 4나노인 A16보다 향상된 3나노 공정을 이용한 탓에 발열과 전력효율성에서 뛰어날 수 밖에 없다.

디스플레이 크기


프로 맥스 모델이 아닌,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 중 가장 외관에서 차이가 나는 부분이 디스플레이 크기일 것이다. 결론부터 얘기해서, 아이폰15 플러스의 경우 6.7인치 화면을 갖고 있으며, 아이폰15 프로의 경우 6.1인치 화면을 갖고 있다.

아이폰15 프로의 경우 플러스 모델에 비해 디스플레이 크기가 작지만, 액정 베벨 자체가 작은 탓에 상대적으로 작게 보이지는 않는다. 이에 반해 플러스 모델의 경우 화면이 프로 모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에 베젤이 두꺼운 부분이 그닥 신경 쓰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AOD

AOD는 “Always On Display”의 약자로써, 화면이 꺼진 상태에서도 시계나 배터리, 기타 알림을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의미한다. AOD 기능의 경우 안드로이든 운영체제인 갤럭시의 경우 소위 급나누기를 하지 않지만, 아이폰의 경우 일반과 프로 모델을 구분하는 기능으로 사용된다. 즉, 아이폰15 플러스의 경우 AOD를 지원하지 않으며, 아이폰15 프로 라인업만 AOD를 지원한다.

다만, AOD 기능과 다르지만, 아이폰14 프로 라인업만 제공하던 다이내믹 아일랜드 기능이 아이폰15 전 모델 라인업에 제공되기에, 그나마 AOD 기능의 부재를 달래야 할 것 같다.

주사율

주사율이란 1초에 화면이 몇번 바뀌는 지를 의미하는 수치로써, 부드러운 화면 정도를 나타내는 용도로 거론되는데, 이러한 주사율 또한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로 작용한다. 보다 정확히 얘기하면, 일반 라인업인 아이폰15 플러스의 경우 60Hz로 작동하며, 프로 라인업인 아이폰15 프로의 경우 그 두배인 120Hz로 작동한다.

만약, 기존에 120Hz 주사율을 보여주는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면, 혹시나 아이폰14 플러스 모델의 화면 움직임이 다소 거슬릴 수 있기 때문에, 필히 현재 사용하고 있는 모델의 주사율을 확인 후 모델 선정을 하는 것이 좋다.

무게

과거 아이폰14의 경우 프로 모델 선택에 가장 고민이 됐던 부분이 무게였다. 말 그대로 프로 라인업의 무게가 일반 모델에 비해 무거워서 구매를 살짝 고민하게 만들었는데, 이번 아이폰15부터 프로 라인업에는 가볍고 강성이 좋은 티타늄 소재가 사용되게 되면서, 프로 라인업의 무게 부담에서 나름 벗어난 편이다.

즉, 과거로 보면 화면 크기 때문에 아이폰14 플러스 모델이 훨씬 무거울 것 같았지만, 사실상 프로 모델과 무게가 거의 똑같았다. 하지만, 이번 아이폰15 프로 모델의 경우 티타늄을 이용해 무게가 상당히 줄어, 아이폰15 플러스 모델의 무게가 훨씬 무겁게 느껴진다.

  • 아이폰15 플러스 무게 – 201g
  • 아이폰15 프로 구메 – 187g

망원 렌즈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 요소 중 가장 뚜렷한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이 바로 망원 렌즈 장착 여부이다. 프로 맥스의 5배 광학줌은 되지 않지만, 프로 모델의 경우 3배 광학줌을 지원한다. 이에 반해 플러스 모델의 경우, 광학줌을 지원하지 않는다. 즉, 원거리 사물을 많이 찍는 분이라면, 아이폰 프로 선택이 답이다.

혹여나 아이폰15 일반 혹은 플러스 제품 홍보 문구에서 2배 광학줌을 언급하는 글들을 봐도 현혹되어서는 안된다. 해당 2배 광학줌은 망원 렌즈에 의한 줌 기능이 아닌, 4800만 화소의 사진을 크롭해서 2배 광학줌과 같은 효과를 내는 것이기 때문이다.


액션 버튼

14모델 대비 아이폰15의 가장 큰 차이점은 과거 무음에 사용하던 좌측 토글 스위치가 사라지고, 액션 버튼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다만, 아쉽게도 이 부분에서 아이폰15 플러스 모델과 프로 모델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일반 모델에서는 액션 버튼을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과거 토글 스위치의 경우, 단일 기능인 무음 변환 기능만 제공하는 것에 반해, 액션 버튼의 경우 다양한 기능 지정이 가능한데, 예를 들어 카메라 버튼으로 사용하거나, 후레쉬 버튼, 자동화 기능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것이 사실이다.

USB 3.0

이번 아이폰15부터 과거의 라이트닝 충전 포트가 아닌 USB-C 타입의 충전 포트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충전 포트는 플러스와 같은 일반 모델 및 프로 모델에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는데, 사실 세부적으로 보면 기능의 차이가 있다. 바로 USB 버전에서 차이가 난다.

플러스와 같은 일반 모델의 경우 USB 2.0 만을 지원하는 것에 반해, 프로 모델의 경우 USB 3.0 을 지원해, 유선 연결을 통해 파일 전송 시 이론적으로 10배 가량의 전송 속도 차이가 발생한다.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구매 가이드

아이폰15-플러스-프로-차이
아이폰15 프로

앞서 언급한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점을 기준으로 제 기준 아래와 같은 사람들에게 각각의 모델을 추천해보겠다.

아이폰15 플러스

  • 인터넷, 동영상 시청, 일상 사진 용도
  • 화면 크기를 우선 시

남자 분들의 경우 6.1인치 일반 및 프로 모델을 구입하게 되면, 화면이 작아서 자판 입력의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가지고 동영상 시청과 인터넷을 자주 한다면 아이폰15 플러스 제품이 제격이다.

아이폰15 프로

  • 고사양 모바일 게임
  • 원거리 사진
  • 액션 버튼

A17 Pro APU를 사용하는 만큼 고사양 모바일 게임에 최적화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반 모델에 없는 망원 렌즈가 장착된 탓에, 콘서트 등에서 원거리에 있는 사물을 찍기가 좋다. 또한 아이폰15 프로 모델에 최초로 적용된 액션 버튼을 이용하고 싶다면, 아이폰15 프로 구매가 제격이다.


이상, 아이폰15 플러스 프로 차이 8가지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사실상 차이라고 하지만, 어떠한 모델이 뒤떨어지는 등의 차이를 말한 것이 아닌, 제품의 특징을 이해하고 구매하는 정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아이폰 쓰는 이유 알 것 같아요! (ft. 5가지)

맥북 장점 단점 써보니 알겠네요! (ft. 윈도우에서 맥으로)

Leave a Comment